AI 실무 활용

UI 없는 AI 시대? 요즘 뜨는 MCP 서버가 뭐길래

AIExpress 2025. 4. 1. 09:38

AI 개발이 점점 진화하고 있는 지금, 새로운 방식의 연결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바로

MCP(Model Context Protocol)

인데요. 개념부터 실전 구축까지 정리해볼게요.

 

출처 : 노마드코드

MCP란 무엇일까?

처음 MCP를 접했을 때, "이게 뭐지, 또 새로운 기술인가?" 싶었어요. 알고 보니, 이건

AI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시스템과 연결되는 방식을 표준화한 프로토콜

이더라고요.

  • AI 앱이 다양한 도구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복잡한 UI 없이도 AI가 '스스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요.
  • 클로드(Claude), 씨에스오알(CSOR) 같은 앱들이 MCP 서버를 통해 GitHub, Supabase와 연결됩니다.

덕분에 AI 개발의 파편화 문제가 줄어들고, 더 빠르게 앱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어요.

 

출처 : 노마드코드

나도 만들 수 있다! MCP 서버 구축

“서버 구축은 어렵지 않을까?” 하는 걱정, 저도 했었죠.

하지만 GitHub의 Model Context Protocol 레포지토리에 있는

Python SDK

덕분에 생각보다 수월했어요.

 

  1. Python SDK 설치
  2. fastMCP 클래스로 서버 인스턴스 생성
  3. 자원(Resource)와 도구(Tool) 추가

예를 들어, 시장이 열렸는지 확인하는 더미 함수를 @mcp.resource 데코레이터로 감싸 등록하면,

AI가 해당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돼요.

 

AI 도구를 활용한 새로운 기회

프롬프트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AI의 활용도는 극적으로 달라집니다

자주 쓰는 프롬프트를 저장해두고, 툴 함수와 연결해보세요.

개발자에겐 정말 좋은 기회예요.

특히 AI와 관련된 MCP 서버 구축 능력은 경력 전환에도 유리할 것 같아요.

 

Cluade & CSOR 연결 방법

현재 연결 방식은 아직 초기라 좀 복잡할 수 있어요. 하지만 곧 개선될 예정입니다. 참고용으로 두 가지 앱 연결 방식을 소개할게요.

연결 방식 특징
Cluade CLA desktop config.js 수정 로컬 서버만 지원 (향후 원격 가능 예정)
CSOR 직접 URL 입력하여 서버 등록 원격 서버 지원, 간편 연결

MCP 서버,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 원격 서버 연결 기능 활성화
  • OAuth 인증 지원으로 사용자 인증 강화
  • 공식 MCP 서버 레지스트리 도입 예정

이런 기능들이 갖춰지면, AI가 알아서 필요한 MCP 서버를 찾아 연결하는 시대도 머지않았다고 봐요. Google, OpenAI, DPS 등도 관심을 가지며 이 기술을 도입하려는 분위기입니다.

MCP, 여러분은 어떻게 활용해보고 싶으신가요?
혹시 직접 MCP 서버를 구축해보셨거나, 관심 있는 분야가 있다면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주세요!